출제정보
출제정보
토픽 이름 | BCP | ||
분류 | MG> BCP / BCM | ||
키워드(암기) | 프로젝트계획점검 > 업무영향분석 및 위험평가(BIA,RA) > 전략수립 > BCP설계 및 개발 > 모의훈련 및 대응 > 유지관리 유효성, 적합성, 적절성, 품질 DR(S), BR, BIA, RTO, RPO |
||
암기법(해당경우) | 계분(업)전설모유, 유적절품 |
기출문제
번호 | 기출문제/예상문제 | 회차 | |
1 | 5.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(BCP : Business Continuity Plan)의 구성방안과 검사방안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| 114.관리.2 | |
2 | 5. 비즈니스 연속성 확보와 관련된 다음 사항에 대해 기술하시오. 가. BCP 의 개념 및 수립절차 나. 결함허용 시스템(FTS)과 고가용성(HA) 다. 후향복구(Backward recovery)와 전향복구(Forward recovery)의 비교 |
ITPE FR_2023.01 | |
3 | 3. 최근 기업의 ESG경영와 함께 ecoBCP(Business Continuity Plan)에 대해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. 이와 관련해서 BCP의 개념 및 수립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고, 수립 절차 중 중요 활동인 BIA(Business Impact Analysis) 대하여 설명하시오. | ITPE FR_2021.07 | |
4 | 태풍, 산불 등 자연재해로 인해 IT시스템의 업무연속성에 대한 관심이 증가 하고 있다. 업무연속성계획(BCP, Business Continuos Plan)과 클라우드를 활용한 DRaaS(Disaster Recovery as a Service)에 대해 설명하시오. | ITPE_2022.11 | |
5 | 6. 코로나19가 팬데믹으로 선언된 이후 기업내 BCP(Business Continuity Plan) 중요성이 부각되고 있다. BCP의 개념 및 수립 절차에 대하여 설명하고 수립 절차 중 중요 활동인 BIA(Business Impact Analysis)와 RA(Risk Assessment)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| ITPE_2020.10 | |
6 | BCP(Business Continuous Planning)에서 RTO(Recovery Time Objective)와 RPO(Recovery Point Objective)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| 101.컴시응.1 | |
7 | 최근 공공기관 지방이전에 따라 각 기관의 정보자원에 대한 지방이전 수요가 늘어나고 있다. A기관은 이전 시 BCP(Business Continuous Planning) 기반하에 업무의 지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이전전략을 수립하고자 한다. 다음 각 항목에 대하여 설명하시오. 1) BCP의 개념 및 도입 시 고려사항 2) IT 자원 우선순위 도출 방안 3) 우선순위에 따른 이전전략 4) IT자원이전 후 안정화 방안 |
101.컴시응.2 | |
8 | BCP(Business Continuity Plan)와 DRS(Disaster Recovery System)를 비교하시오. | 86.조직.2 | |
9 | 업무연속성계획(BCP, Business Continuity Planning) 수립을 검토하고 있다. 가. 이를 효율적으로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스와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시오. 나. 프레임 워크내의 주요계획(재해예방, 대응 및 복구, 유지보수, 모의훈련)에 대하여 기술하시오. |
80.관리.2 |
- BCP는 기업이 예상치 못한 재난, 위기, 또는 장애 상황에서도 핵심 비즈니스 기능을 지속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체계적 접근 방식 - BCP는 재해 복구 계획(DRP)과는 다르지만, 이를 포함하여 보다 광범위한 비즈니스 연속성 확보를 목표로 함 - BCP는 조직의 모든 주요 기능과 서비스가 중단 없이 운영될 수 있도록 하는 전략과 절차를 정의합니다 |
I. 기업 비즈니스 연속성 보장 체계, BCP의 개요
가. BCP(Business Continuity Planning)의 정의
- 지진, 홍수, 천재지변 재해발생 시, 시스템의 복구, 데이터 복원 등과 같은 단순 복구차원을 포함하여, 기업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할 수 있는 체계.
- 21세기 기업에 있어서 Business Continuity에 대한 대응 전략과 구체적인 방안의 사전 수립과 비용 효율적인 솔루션의 도입은 기본 요소로 인정됨. 여기에는 기업의 연속성 보장을 위한 모든 요소인 IT, People, Media & Communication 등이 그 대상이 되어야 함
- 갑작스런 재난, 재해가 발생하더라도 비즈니스를 중단 없이 지속적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모든 프로세스 플랜을 수립하는 예방적인 차원의 개념
- 24시간 비즈니스 운영체제 구축을 의미함
- 갑작스런 재난, 재해 발생 시 시스템 복구, 데이터 복구를 포함하여 기업 비즈니스 연속성을 보장할 수
있는 24시간 비즈니스 운영체제
나. BCP (Business Continuous Planning)의 필요성
(정보)기술적 측면 |
-재해대비 시스템 복구 기능은 정보시스템의 필수 요소로 인식되어야 함 -기업 IT 시스템 안정성에 대한 법적 규제 추세 |
외부환경 측면 |
-고객정보 보호와 업무연속성 확보로 안전장치 마련 -시스템 중단 시 발생하는 기업이미지 실추 예방 |
내부환경 측면 | -시스템 중지로 인한 영업손실에 대한 기회비용 발생 방지 -재해 발생시 조직 및 개인의 업무정의 필요 |
II. BCP 프레임워크내의 주요 계획
가. BCP 프레임워크
- 운영환경에서 위험요소 파악 및 업무영향도 분석(BIA)를 통해 복구계획 수립
- BCP 프레임워크 내의 주요 계획은 다양한 요소를 포함하며, 각 요소는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구체적인 전략과 정책으로 구성 |
구분 | 구성요소 |
Input (투입 요소) | 업무 연속성 전략 |
위험 관리 정책 | |
업무 연속성 계획 (Business Continuity Plan) |
비상 대응 계획 |
업무 복구 계획 | |
재해 복구 계획 | |
Output (출력 요소) | 업무 재개 (Business Resumption) |
재해 복구 (Disaster Recovery) |
구분 | 구성요소 |
Input (투입 요소) | 업무 연속성 전략 |
위험 관리 정책 | |
업무 연속성 계획 (Business Continuity Plan) |
비상 대응 계획 |
업무 복구 계획 | |
재해 복구 계획 | |
Output (출력 요소) | 업무 재개 (Business Resumption) |
재해 복구 (Disaster Recovery) |
나. BCP 프레임워크 내 주요 계획
주요계획
|
세부내용 및 계획사항
|
재해예방 (Disaster Prevention)
|
- 재해(Disaster)가 발생하기 전에 재해발생요인을 사전에 대응, 처리
- 위기관리(Crisis Mgt)를 통한 사전에 위기를 정성적, 정량적 분석을 통하여 예방함 |
대응 및 복구 (Response & Recovery)
|
- 재해에 대하여 정성적, 정량적 평가항목을 도출
- BIA(Business Impact Analysis)를 통한 파급효과를 분석하고 대응방안 수립 - Contingency Plan을 통한 복구수립 |
유지보수(maintenance)
|
- 운영형태별 센터유형을 선택
- 상호계약형, 공동이용형, 위탁운영형, 자영운영형 중에 센터 선택 - TCO 및 ROI분석을 통한 효율화 필요 - DR거리에 따른 Annual Charge고려 필요 |
모의훈련(Simulation)
|
- 수립된 계획의 주기적인 테스트(최소 연 1회)를 통한 미비점 파악 및 보완
- 복구목표시간(RTO), 목표수준(RPO) 실제 훈련적용 |
III. BCP 구성요소 및 DRP의 비교
BCP (Business Continuity Planning)와 DRP (Disaster Recovery Planning)는 기업이 위기 상황에서도 업무를 지속하고 복구할 수 있도록 하는 계획입니다.두 계획은 상호 보완적이지만, 초점과 범위가 다릅니다. BCP는 전체적인 업무 연속성에 중점을 두고, DRP는 정보시스템과 IT 인프라의 복구에 중점을 둡니다. |
가. BCP 구성요소
구분 | 설명 |
DR(S) | - Disaster Recovery Service; 정보시스템에 대한 비상 대비체제유지와 각 업무 조직별 비상사태에 대비한 복구계획 수립을 통한 업무 연속성을 유지할 수 있는 체제. - 최소한의 재난 대비 - BCP의 최소 요소 |
BR | - Business Recovery; 핵심업무 프로세스 복구 - 기업의 연속성을 위한 중요업무 등을 복구하기 위한 개념 - BCP의 부분 개념 |
BIA | - Business Impact Analysis; 업무 영향 분석: 복구 우선 순위 파악 - RPO, RTO를 사전에 파악하고 솔루션 및 DR Center로의 이동 및 Distance를 고려함 |
Backup | - 백업 데이터의 송수신 및 보관 - 데이터 복제의 주기 및 방법, 보관 데이터의 정합성 유지 - 변경된 데이터의 구조 및 어플리케이션 등의 반영 - ILM, Log-shipping처리, Storage 복제 솔루션 연동 |
Planning | - 업무 및 데이터의 중요도 분류 및 선정 - IMP(Incident Mangagement Plan), DRP 등의 작성을 통한 Disaster 시에 혼선 방지 |
구분 | 설명 |
DR(S) | Disaster Recovery Service (DRS) < 정보 시스템에 대한 비상 대비 체제 유지 > :
|
BR | - BCP (Business Continuity Planning)의 구성 요소 중 하나로서 BR (Business Recovery)는 핵심 업무 프로세스를 복구하는 데 중점을 둔 개념입니다. - 이는 기업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중요한 업무를 신속하게 복구하는 계획을 포함 - BR은 BCP의 부분 개념으로, 기업이 재난 상황에서도 최소한의 운영을 지속할 수 있도록 합니다. BR (Business Recovery) 구성요소
요약BR (Business Recovery)는 BCP의 중요한 부분 개념으로, 재난 상황에서 기업의 핵심 업무 프로세스를 복구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. 이를 통해 기업의 연속성을 보장하고, 중요한 업무를 신속히 복구하여 비즈니스 운영이 중단되지 않도록 합니다. 핵심 업무의 식별, 우선 순위 설정, 복구 목표 시간 설정, 복구 자원 및 인력 배치, 복구 절차 문서화, 모의 훈련 및 테스트, 정기적 검토 및 업데이트 등이 BR의 주요 구성 요소입니다. |
BIA | - BCP(Business Continuity Planning)에서 BIA(Business Impact Analysis, 업무 영향 분석)는 핵심적인 구성 요소 - BIA는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의 기초를 제공하며, 재난이나 비상사태가 비즈니스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고, 복구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.
요약BIA는 비즈니스 연속성 계획에서 필수적인 단계로, 각 업무 기능의 중요도를 평가하고 복구 우선순위를 설정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. RPO와 RTO를 사전에 파악함으로써 데이터 손실 허용 범위와 복구 시간 목표를 설정하고, 이에 맞춘 솔루션과 DR 센터의 위치 및 접근성을 고려하여 효율적인 복구 계획을 수립합니다. 이러한 과정은 비즈니스가 재난 상황에서도 신속히 복구되고 지속될 수 있도록 보장합니다. |
Backup | 백업은 BCP (Business Continuity Planning)에서 중요한 구성 요소로, 데이터의 안전한 보관과 신속한 복구를 보장하는 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. < 백업 데이터의 송수신 및 보관 >
< 데이터 복제의 주기 및 방법, 보관 데이터의 정합성 유지 >
< 변경된 데이터의 구조 및 어플리케이션 등의 반영 >
< ILM, Log-shipping 처리, Storage 복제 솔루션 연동 >
요약BCP의 백업 구성 요소는 데이터의 송수신 및 보관, 복제 주기 및 방법, 데이터 정합성 유지, 구조 및 애플리케이션 변경 반영, ILM, Log-shipping 처리, Storage 복제 솔루션 연동 등을 포함합니다. 이러한 요소들은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관하고, 필요 시 신속히 복구할 수 있도록 하여 업무 연속성을 보장합니다. |
Planning | - 이 단계에서는 특히 업무 및 데이터의 중요도를 분류하고 선정하며, 혼선을 방지하기 위해 다양한 계획들을 작성합니다.
요약BCP의 계획 수립 단계에서는 업무 및 데이터의 중요도를 분류하고 선정하며, 혼선을 방지하기 위한 다양한 계획들을 작성합니다. 이 단계는 비즈니스 영향 분석을 통해 각 업무와 데이터의 중요도를 평가하고, Incident Management Plan (IMP)과 Disaster Recovery Plan (DRP)을 작성하여 비상사태 발생 시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대응할 수 있도록 준비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. 이러한 준비 과정은 비즈니스 연속성을 유지하고, 재난 상황에서도 빠른 복구를 가능하게 합니다. |
나. BCP 구축 절차
번호 | 성공요소 | 세부내용 |
1 | BCP 착수 | - 기업의 현황 분석을 위한 착수 진행 |
2 | 위험요소 분석 | - BCP를 위한 위험 개념 정립 / 업무 특성에 따른 위험 요인 파악 |
3 | 업무영향 분석 | - BIA를 통해 위험의 영향을 측정 - 업무 중요도에 따른 복구 등급 결정(Periority 선정) |
4 | 비즈니스 연속성 위한 전략개발 | - DR Center 및 백업 센터 구축 전략을 수립 |
5 | 재해시 대응 및 운영 방안 마련 | - 위험 및 영향 분석과 정보 동향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대응방안, 운영 방안 강구 |
6 | BCP개발 | - 백업센터 운영 유형(운영 형태별, 기술 형태별) 개발 - 운영형태 : 독자구축, 상호이용형, 공동이용형, 외부 위탁형 선정 - 기술형태 : Mirror, Hot, Warm, Cold Site 선정 및 개발 - 업무 우선 순위에 따라 혼합 기술 형태 가능 |
7 | 재해대응훈련 및 교육 | - DRP 작성 : Disaster Recovery Plan으로 이동수단, 이동인원, Action 리스트, 스크립트 사전 작성 - SOP(Standard Operation Procedure), IMP 작성 위 문서는 대외 매체에 대한 공지 등까지 포함하는 문서여야 함 - Simulation Test 진행 : 개선 작업 진행 / 관련자 교육 진행 |
8 | BCP 구현(릴리즈) | - DR Center 구축 완료 |
9 | 운영 | - DR Center, Human Resource 운영 |
10 | 관계당국과 협력 | - IT Compliance 적용 및 지침 준수 적용 |
번호 | 성공요소 | 세부내용 |
1 | BCP 착수 | < 기업의 현황 분석을 위한 착수 진행 >
|
2 | 위험요소 분석 | < BCP를 위한 위험 개념 정립 >
|
3 | 업무영향 분석 | < BIA를 통해 위험의 영향을 측정 >
|
4 | 비즈니스 연속성 위한 전략개발 | < DR Center 및 백업 센터 구축 전략을 수립 >
|
5 | 재해시 대응 및 운영 방안 마련 | < 위험 및 영향 분석과 정보 동향 분석 자료를 바탕으로 대응방안, 운영 방안 강구 >
|
6 | BCP개발 | < 백업센터 운영 유형(운영 형태별, 기술 형태별) 개발 > < 운영형태 : 독자구축, 상호이용형, 공동이용형, 외부 위탁형 선정 >
업무 우선 순위에 따라 혼합 기술 형태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. |
7 | 재해대응훈련 및 교육 | <DRP작성: Disaster Recovery Plan으로이동수단,이동인원, Action리스트,스크립트사전작성> 이동수단, 이동인원, Action 리스트, 스크립트를 사전 작성합니다. < SOP(Standard Operation Procedure), IMP 작성 위 문서는 대외 매체에 대한 공지 등까지 포함하는 문서여야 함 >
|
8 | BCP 구현(릴리즈) | < DR Center 구축 완료 >
|
9 | 운영 | < DR Center, Human Resource 운영 >
|
10 | 관계당국과 협력 | < IT Compliance 적용 및 지침 준수 적용 >
|
다. BCP와 DRP의 비교
구분 | BCP | DRP |
목적 | - Business Continuity Planning - BCP는 심각한 중단 상황에서 복구가 진행되는 동안에 필수적인 사업을 유지하기 위한 절차를 제공 |
- Disaster Recovery Planning - 정보시스템 인프라와 사업 운영에 필수적인 정보자산의 복구를 촉진하기 위한 상세한 절차를 제공 |
범위 | 실제의 업무 프로세스와 업무 프로세스 를 지원하기 위한 IT 영역에 집중 | - IT 중심적이고 장기간 효과를 지속하는 중대한 중단에 국한 - 따라서 IT 서비스의 우선순위 선정이 중요함 |
실행 주체 | 각 Business Unit을 중심으로 수행 | - 각 업무 부서와는 별도로 정보 시스템 부서를 중심으로 수행 |
대상 | 업무는 물론 사람, 물리적 사무공간, 중 요 문서 등을 포함하여 사전에 준비하 기 어려운 수많은 항목이 대상 | - 명확하게 범위를 설정 - 정보시스템(IT 운영팀)을 중심으로 운영시설을 사업단위 중심으로 수행 - 최소한의 Data Backup에서부터 실시간 데이터 저장 및 운영 Server, Storage, Network device, DWDM까지 대상 |
구분 | BCP | DRP |
목적 |
|
|
범위 |
|
|
실행 주체 |
|
|
대상 |
|
|
요약
|
다. BCP와 BRS, DRP의 비교
구분 | BCP | BRS | DRS |
목적 | 종합 복구 계획 | 비즈니스 복구 | 재해 복구 |
범위 | 정책, 프로세스, 업무지원 시스템 | 프로세스, 업무지원 시스템 | 업무지원 시스템 |
내용 | 비즈니스 연속성 | 신속한 업무 복구 | 신속한 시스템 복구 |
담당 | 전사측면 | 사업부 전체 | 시스템 운영담당 |
산출물 | 재해복구계획, 업무복구계획 대체 프로세스 계획, 업무비상계획 |
업무복구계획 | 재해복구계획 |
IV. BCP 프로젝트 성공에 대한 제언
가. BCP 고려사항
성공요소 | 세부내용 |
CEO의 적극적 인식 제고 | - BCP Project는 CEO의 지속적인 관심과 지원이 없으면 실패할 확률이 높음. - BCP 프로젝트 시작 전에 CEO에게 적극적인 관심을 요청 - 투자 개념이 아닌 기업의 연속성에 초점을 맞추어져야 함. |
COO의 주도 | - 누가 추진 주체가 될 것인지가 매우 중요 - 전자 비즈니스 전반의 연속성을 보장하는 전사 BCP의 경우 BCP와 관련된 계약, 인력 관리, 건물관리, 대체업무, 비상 보고체계, 총무 등이 사실 모두 COO영역이므로 COO가 타당 - IT측면에 초점이 맞춰진 IT BCP의 경우 CIO가 타당 |
이해관계자가 참여하는 TFT구성 | - 다른 대형 프로젝트와 달리 전사 임직원이 적극적으로 참가하여 TFT는 전 사업부의 관련자들이 모두 모여 구성 - 이상적인 TFT구성은 IT부서, 리스크 관리부서, COO조직이 기본적으로 참여하고 추가적으로 현업 각 부서에서 빠짐없이 참가하는 것 |
프로젝트 범위 명확화 | - BCP의 물리적, 논리적 대상과 명확한 범위를 확정 Ex)은행: 본점만 범위에 넣을 것인지 Call Center, IT센터까지 넣을 것인지 결정 |
BCP에 대한 사전 교육 실시 | - BCP프로젝트 추진을 위한 기본적인 지식, 교육 사전 진행 - 전사적인 인원의 적극적인 참여의지 필요 |
나. BCP 기대 효과
24시간 365일 비즈니스 운영 보장 | - 고객서비스의 지속성, 신뢰도 제고 - 안전한 기업으로서의 마케팅 효과 |
신속한 데이터 복구 및 업무 복귀 | - 기업의 경쟁력 제고 - 재해 복구 비용의 최소화 - 재해/장애 예방에 의한 수익의 증가 |
'정보관리기술사_개념 > 경영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정보관리기술사] UC (0) | 2024.08.29 |
---|---|
SCM (0) | 2024.05.31 |
ITIL 4.0 (0) | 2024.05.27 |
팬데믹 BCP(사업 연속성 계획,Business Continuity Planning) (0) | 2024.05.27 |
DRP (0) | 2024.05.27 |